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결혼 준비, 지역에 따라 '2배 이상' 차이? 소비자원 첫 조사 결과 공개

by 경제의모든것,경모 2025. 5. 28.
728x90
반응형
SMALL

결혼 준비를 앞둔 예비부부라면, “도대체 결혼에 얼마가 들까?”라는 고민을 해보셨을 텐데요. 한국소비자원이 전국의 결혼 서비스 비용을 조사한 결과, 지역별 격차가 무려 3배 가까이 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결혼 서비스 평균 비용, 지역별 차이, 스드메 요금까지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전국 평균 결혼 비용: 2,101만 원

  • 결혼식장(대관료+식대) + 스드메(스튜디오촬영, 드레스, 메이크업) 포함
  • 총 522곳(결혼식장 370곳, 대행업체 152곳) 조사

📍 지역별 결혼 비용 중간값 비교

지역 평균 결혼비용
서울 강남 3,409만 원
서울 (강남 외) 2,815만 원
경기 1,875만 원
인천 1,834만 원
경상도 1,209만 원
부산 1,227만 원
제주 1,543만 원

🍽️ 결혼식장 주요 비용 구성

  • 식대: 1인당 중간가격 5만 8천 원 (강남: 8만 5천 원 / 경상도: 4만 4천 원)
  • 보증인원 × 식대: 평균 1,183만 원
  • 대관료: 전국 평균 300만 원 (강남: 700만 원 / 제주·광주: 100만 원)

📷 스드메(스튜디오촬영+드레스+메이크업) 패키지

  • 전국 평균: 290만 원
  • 스튜디오: 135만 원
  • 드레스(본식 1벌 + 촬영 3벌): 155만 원
  • 메이크업: 76만 원

⏰ 추가비용 주의! '얼리스타트비'는 최대 20만 원

새벽 시간(4~5시)에 메이크업을 받을 경우 추가되는 '얼리스타트비'는 최대 20만 원에 달하며, 업체의 73.6%가 시간대별로 요금을 차등 적용하고 있습니다.


📅 언제 예약해야 할까?

예식장은 보통 예식일 1년 전에 예약이 이뤄지고 있으며, ‘12~18개월 전’ 예약이 전체의 55.3%를 차지했습니다.

🔍 소비자원이 말하는 문제점은?

업체 522곳 중 무려 63.6%는 가격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객관적인 비교가 어려운 상황이죠.


💡 결혼 비용, 앞으로 어떻게 될까?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결혼 비용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식대와 대관료의 인상 가능성이 큽니다. 반면, 지방 중소도시는 비교적 저렴한 결혼식 준비가 가능해 비용 절감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결혼 비용, 당신은 어떤 전략으로 결혼을 준비하시겠습니까?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참고사이트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