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경제

트럼프, 애플과 EU에 고율 관세 압박…삼성과 한국 기업도 영향받을까?

by 경제의모든것,경모 2025. 5. 26.
728x90
반응형
SMALL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다시 한 번 관세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이번에는 애플과 유럽연합(EU), 그리고 삼성 등 해외 제조업체를 정조준하며 시장의 긴장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 글로벌 증시, 트럼프의 관세 압박에 흔들리다

  • 미국 증시에서 S&P500 지수는 0.67%, 나스닥은 1% 하락
  • 애플 주가는 3% 넘게 급락, 주요 기술주 대부분 하락세
  • TSMC, 퀄컴, ARM 등 위탁 제조 기업들도 일제히 하락

트럼프 전 대통령은 애플에 대해 "미국에서 제조하지 않으면 최소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고, 삼성 등도 포함될 수 있다고 언급하며 글로벌 공급망에 충격을 안겼습니다.

📦 관세, 소비자와 기업에 어떤 영향을 줄까?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다음과 같은 영향이 예상됩니다:

  • 아이폰, 갤럭시 등 전자기기 가격 상승
  • 소비자 물가 압박 → 인플레이션 재점화 우려
  • 기업 수익성 감소, 기술주 중심의 주가 하락 지속 가능성

이러한 불확실성은 연준의 금리 동결 결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실제로 시카고 연은 총재는 "관세로 인해 2020년 이후와 같은 물가 불안이 다시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습니다.

🔋 한편, 미국 내 원전 산업은 '훈풍'

트럼프 전 대통령은 같은 날 미국 원전 용량을 4배 확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에너지 업계에는 호재를 안겼습니다.

  • 오클로(+23%), 뉴스케일파워(+19%), 카메코(+11%) 등 관련 기업 급등
  • 대형 원전 10기 추가 건설 계획 발표

또한 일본 제철의 US스틸 인수도 승인하면서 US스틸 주가는 무려 21% 상승하는 등 철강 섹터도 강세를 보였습니다.

📊 앞으로의 전망은?

트럼프의 고율 관세 공세는 단순한 선거용 압박이 아니라, 실제 정책 집행 의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는 곧 다음과 같은 변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제조 공장의 미국 내 회귀 가속화
  • 공급망 재편 → 관련 반도체·철강·에너지 산업 주가 주목
  • 관세 관련 협상 장기화 → 글로벌 증시 변동성 확대

결국 투자자 입장에서는 관세 수혜주(에너지·원전·미국 내 제조 기업)타격을 받을 수 있는 글로벌 제조기업(전자·자동차 부품) 간 차별화에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

🤔 과연 이번 관세 폭풍, 진짜 미국 제조업 부흥을 이끌 수 있을까요?

아니면 단기적인 시장 불확실성만 키운 채 마무리될까요? 투자자 여러분의 판단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