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AI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는 엔비디아(NVIDIA)가 드디어 종가 기준 160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시가총액은 3조9040억 달러로, 불과 2.5% 상승만으로 '4조 달러 클럽'에 진입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 엔비디아, 왜 이렇게 잘 나갈까?
- AI 반도체(GPU) 시장 점유율 80% 이상
- AI 가속기 시장 점유율 95%에 육박
- 매출총이익률 70%라는 막강한 수익성
- 사우디, UAE 등 중동국가의 AI 인프라 투자 확대
- 미국 빅테크들의 데이터센터 추가 구축 발표
CNBC는 “엔비디아의 가격 결정력은 하드웨어 기업 중에서도 유례없는 수준”이라고 평가했습니다. AI 학습·추론에 필수적인 GPU를 거의 독점하다시피 하며, '소버린 AI' 붐의 중심에 있다는 평가입니다.
💡 소버린 AI란?
소버린 AI(Sovereign AI)란 각국 정부가 자국 내 AI 인프라와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통제하려는 움직임을 말합니다. 씨티그룹은 이 수요가 이미 수십억 달러 규모로 엔비디아 실적에 반영되었고, 앞으로 더 커질 것이라 전망하고 있습니다.
💹 씨티그룹의 목표주가 상향
- 기존: 180달러 → 상향: 190달러
- 현재 종가 기준 추가 상승 여력: 약 19%
🚧 변수는 '트럼프의 對中 관세 정책'
미국 정부는 지난 4월부터 중국향 AI 반도체 수출 제한을 강화하며, 엔비디아의 'H20' 반도체도 규제 대상이 되었습니다. 이에 엔비디아는 새로운 저가형 칩을 출시하며 중국 시장 대응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CEO 젠슨 황은 "중국 시장을 실적 가이던스에서 제외하겠다"고 밝혀 미국 내 AI 중심 전략에 더욱 무게를 실은 모습입니다.
🔮 앞으로의 전망은?
- 2026년까지 매출 53.7% 증가 예상 (2005억 달러)
- 영업이익 54.2% 증가 예상 (1256억 달러)
- 78명의 애널리스트 중 68명 ‘매수’ 추천
- 평균 목표주가: 174.37달러
특히 하반기부터는 최신 GPU '블랙웰 B200'의 공급 본격화로 다시 한번 실적 폭발이 예상됩니다. 공급보다 수요가 많은 상황이 지속되고 있어, 추가 상승 여력은 충분하다는 것이 월가의 평가입니다.
📝 마무리 정리
포인트 | 내용 |
---|---|
주가 | 160달러 (사상 최고가) |
시가총액 | 3.9조 달러 (4조 달러 진입 임박) |
성장동력 | AI 반도체, 소버린 AI, 데이터센터 수요 |
리스크 | 트럼프의 對中 반도체 수출 규제 |
목표주가 | 씨티그룹 기준 190달러 |
그렇다면 지금 엔비디아에 투자해야 할까요? 아니면 이미 늦은 걸까요? AI와 반도체, 그리고 '소버린 AI'라는 키워드는 아직 현재진행형입니다. 선택은 투자자의 몫입니다.
👉 [블로그 홈 바로가기]
'미국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지니어스법' 통과, 스테이블코인 제도권 진입…기회일까, 리스크일까? (3) | 2025.07.21 |
---|---|
📉 테슬라, 로보택시 출시에도 주가 ‘갈지자’…왜 오르지 못할까? (5) | 2025.07.04 |
🇺🇸 트럼프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 미 상원 첫 관문 통과! 무엇이 담겼나? (3) | 2025.07.03 |
📢 미국 스테이블코인법 통과! 코인주는 급등, 카드주는 하락…왜? (2) | 2025.06.25 |
📉 '매파적 동결' 선택한 미국 Fed, 금리는 동결됐지만 왜 시장은 긴장할까? (4) | 2025.06.23 |